ㅁ 주제: 영국 UKAS 인정시스템의 파급효과 - 시장분석과 품질인프라를 중심으로 ㅁ 발간일: 2015.2.28 ㅁ 개요 본 보고서는 2013년 영국 기업혁신부(BIS)에서 발간한 ‘인정의 파급효과’ 보고서의 상세 내용을 국내에 소개하고,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함 (원문: The Economics of Accreditation, Marion Frenz, Ray Lambert, 2013.3) ㅁ 주요 요지 ㅇ 인정시스템은 적합성평가기관이 특정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이 있음을 증명하는 것으로, 측정지식·표준개발·지적재산 기술 혁신·계측장비구입·품질경영시스템 인증·혁신 확대 등의 산업발전에 기여해 옴 - 영국 인정시스템은 UKAS로 단일화 되어있으며, 한국은 KOLAS(시험, 교정, 검사 등), KAS(제품인증), KAB(시스템인증 등)으로 구분 운영 ㅇ 영국에서 UKAS 인정을 받은 기관은 1,966社로, 한국에서 KOLAS, KAS, KAB 인정을 받은 800社와 대비해 약 2.5배
- 영국 UKAS 인정 시장은 의료분야 등 非전통 분야 성장에 힘입어 지난 5년간 약 50% 수준으로 고성장한 반면, 한국의 성장률은 약 12% 수준 ㅇ UKAS의 총매출은 361억원(2013년)이며, 한국의 경우 KOLAS, KAS는 정부 운영으로 매출이 없고 KAB의 총매출은 30억원(2014년)임 - 영국 UKAS 인정을 받은 적합성평가기관의 매출은 시험 5조 5,112억원, 교정 1조 6,600억원, 검사 1조 4,392억원, 인증 8,515억원으로 구성되어 총 9조 4,620억원 수준으로 조사됨 ㅇ 영국 UKAS 인정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△서비스 가격상승(3,090억원), △매출성장(1,162억원), △파생사업을 통한 부가가치(5,312억원) 측면에서 총 9,564억원 수준으로 추정 ㅇ 영국 UKAS 인정의 효과 분석 사례는, 향후 한국 인정시스템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정책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 출처 : http://ksa.or.kr/ksa_kr/845/subview.do?enc=Zm5jdDF8QEB8JTJGYmJzJTJGa3NhX2tyJTJGNTglMkY5NDg2JTJGYXJ0Y2xWaWV3LmRvJTNGcGFnZSUzRDQlMjZsYXN0UGFnZSUzRDQlMjZzcmNoQ29sdW1uJTNEJTI2c3JjaFdyZCUzRCUyNmJic0NsU2VxJTNEJTI2YmJzT3BlbldyZFNlcSUzRCUyNnJnc0JnbmRlU3RyJTNEJTI2cmdzRW5kZGVTdHIlM0QlMjZpc1ZpZXdNaW5lJTNEZmFsc2UlMjZwYXNzd29yZCUzRCUyNg%3D%3D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