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표준화 정책

  • 프린트 하기
테이블
[KSA-PS-020호] 국내 제조 분야의 표준화 실태 주요특성과 시사점 2016-09-06

이 보고서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과제인 <2015년 기업 표준화 실태조사>의 결과를 분석하여 국내 제조업의 표준화 동향과 시사점을 소개하고자 한다.

ㅇ 실태조사는 국내 제조 분야 3,0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,

    표준 활용, 표준화 활동, 표준화 역량, R&D-표준화 연계 등을 질의하는 형태로 설계됨  

 

ㅇ 응답 기업의 표준 보유율은 70.4%이며, 보유목적은 ‘품질관리’가 가장 많고 그 외에

    구매자 요구, 인증취득 등이 언급됨    

 

ㅇ 기업들은 표준정보 회득의 수단으로 그룹 내, 협력업체 등의 사적 채널을 이용하는 경우가

    가장 많아 기업의 역량에 따라 표준정보 수집의 격차 발생  

 

ㅇ 0.5%만의 기업이 표준화 업무 전담부서를 운영하며 대부분은 품질관리조직 등이

    적합성평가, 품질, 표준 업무를 광범위하게 병행함  

 

ㅇ 기업은 필요한 표준화 역량으로 생산, 제품공정에 대한 기술적 지식을 꼽았으며,

    전문교육, 자격 등의 표준역량 보유인력에게 높은 업무 이해도를 기대함  

 

ㅇ R&D 부서를 보유한 기업의 47.5%는 R&D 시 지속적으로 표준화 현황을 파악하고

    R&D에 참여한다고 응답했으나, 사외의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는 기업은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남

 

ㅇ ISO, IEC 외에 국내기업에게 활용성이 높은 해외표준을 추가로 분석하여

    국가표준으로 부합화하거나 국내에 번역, 보급하는 시스템이 필요함  

 

ㅇ 부처별 표준정보 채널을 통합하고, 기업의 활용률 및 니즈를 지속 분석하여 개선하는 등의

    종합 커뮤니케이션 방안이 필요함  

 

ㅇ 기업의 표준화가 품질, 인증 활동과 병행되고 기술적 지식의 수반을 전제로 하는 만큼,

    기존의 품질, 인증 교육에 표준화 컨텐츠를 연계하고, 분야별 기술적 지식과 표준화의

    통합 커리큘럼이 요구됨  

 

ㅇ 기업들이 R&D 과정에서 표준화를 경험하도록 범부처 R&D 제도에 표준화 프로세스를

    도입하고 인센티브 방안을 검토해야 함  

 

ㅇ 향후 표준화 실태조사 수행 시 정성조사를 강화하여 핵심이슈에 대해 깊이 있는 분석을

    실시하고, 표준주요국과의 공통조사를 추진해야 함

 

<출처 : http://ksa.or.kr/ksa_kr/845/subview.do?enc=Zm5jdDF8QEB8JTJGYmJzJTJGa3NhX2tyJTJGNTglMkYxMTc2OCUyRmFydGNsVmlldy5kbyUzRnBhZ2UlM0QxJTI2bGFzdFBhZ2UlM0Q0JTI2c3JjaENvbHVtbiUzRCUyNnNyY2hXcmQlM0QlMjZiYnNDbFNlcSUzRCUyNmJic09wZW5XcmRTZXElM0QlMjZyZ3NCZ25kZVN0ciUzRCUyNnJnc0VuZGRlU3RyJTNEJTI2aXNWaWV3TWluZSUzRGZhbHNlJTI2cGFzc3dvcmQlM0QlMjY%3D>

%s1 / %s2
 
Total. 27
정보마당 > 표준화 정책 게시판
공지
표준화 정책 게시판표준화 정책 게시판에 앞으로 게재될  KSA Policy Study(시리즈)는 해외 글로벌 표준정책 동향의 전파, 국내외 표준 통계자료의 개발 및 보급, 표준화 주요 ...
파일없음
2018-01-08
[26호] 제조 분야 표준화 실태조사 주요결과와 시사점개요의 결과를 분석하여 국내 제조업의 표준화 실태와 시사점을 소개하고자 한다. 주요 요지ㅇ 실태조사는 국내 제조 분야 3,000개사를 대상으로 진...
파일없음
2017-05-22
[25호]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주요국의 표준정책 분석 및 시사점개요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융․복합화에 있어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핵심요소가 표준이다. 선도그룹 독일․미국 등의 표준정책을 벤치마킹하여 한국의 4차 산...
파일없음
2017-05-22
[24호] ISO·IEC의 표준개발 위원회 동향 분석과 한국 참여의 시사점개요 본 보고서는 국제표준화 기구인 ISO, IEC에서 표준개발을 담당하는 위원회의 동향을 분석하고 한국이 정회원(P멤버)으로 참여할만한 위원회를 검...
파일없음
2017-02-27
[KSA-PS-023호] OECD 국가 기술규제 협력현황과 시사점-적합성평가 상호인정(MRA)를 중심으로[KSA-PS-023호]  OECD 국가 기술규제 협력현황과 시사점-적합성평가 상호인정(MRA)를 중심으로  개요 본 보고서는 OECD(2016)의 “국제 규제협력에 대한...
파일없음
2016-11-25
[KSA-PS-022호] 4차 산업혁명을 리드하는 일본 정부의 추진 전략과 정책 시사점개요 일본의 2016년은 4차 산업혁명 입국의 원년으로 사물인터넷, 빅데이터, 인공지능, 로봇 기술이 가져다 줄 미래 충격에 대비, 범부처 참여로 마련...
파일없음
2016-10-19
[KSA-PS-021호] 기업의 차세대 표준전문인력 양성 - APEC 조사 결과와 향후 협력과제개요 이 보고서는 저자가 APEC 프로젝트로 작성한 을 바탕으로 우리 정책에 참고하기 위하여 주요내용과 시사점을 요약하여 정리하였다. (원문: Choi, ...
파일없음
2016-09-06
[KSA-PS-020호] 국내 제조 분야의 표준화 실태 주요특성과 시사점이 보고서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과제인 의 결과를 분석하여 국내 제조업의 표준화 동향과 시사점을 소개하고자 한다.ㅇ 실태조사는 국내 제조 ...
파일없음
2016-08-16
[KSA-PS-019호] 주요 교역국 ICT 제품 적합성평가제도 동향 및 시사점가. 제목: 주요 교역국 ICT 제품 적합성평가제도 동향 및 시사점   나. 작성자 : 한국표준협회 표준정책연구센터 백종현 책임   다. 주요 요지   본 보...
파일없음
2016-05-27
[KSA PS-018호] 한중 국가표준(KS-GB)의 주요 특성 갭(gap) 분석 및 시사점제목:  한중 국가표준(KS-GB)의 주요 특성 갭(gap) 분석 및 시사점 작성: 최동근 표준정책연구센터 수석연구원 (dgchoi@ksa.or.kr, 02-6009-4850) 주요 요...
파일없음
2016-05-12
[KSA PS-017호]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융복합 기술의 표준화 연계 전략작성: 이상동 표준정책연구센터장 (sdlee@ksa.or.kr, 02-6009-4830) 주요 요지 ❍ (4차 산업혁명)디지털 혁명이라는 3차 산업혁명의 기반 위에서     4차 ...
파일없음
2016-04-06
[KSA PS-016호] ISO(국제표준화기구) 2016-2020 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❍ 3대 국제 표준화기구 중 하나인 ISO는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중요 과제를 발굴하고 성과를 강화하기 위해 5개년 단위로 전략을 발표하고 있음  ❍ ISO의 201...
파일없음
2016-03-29
[KSA PS-015호] 국내외 서비스 산업의 표준화 현황과 발전방향❍ (서비스 표준) WTO 등 국제기구는 서비스가 국제무역의 25.4%를 차지하고 있고, 서비스 신뢰성 확보 및 무역장벽 제거를 위한 표준화에 주목 - 서비스 교...
파일없음
2015-12-07
[KSA PS-014호]우리나라 기술규제 대응활동 현황과 향후과제-국내 기술규제 애로 발굴 ·개선활동을 중심으로출처 : http://www.ksa.or.kr/framework/customer/notice.do?method=view&pbrd_seq_n=204&brd_seq_n=71656&cPage=1&skin_seq_n=1
파일없음
2015-08-06
[KSA PS-013호] 2015년 ISO 9001, 14001 개정의 시사점❍ ISO 9001과 14001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증서가 발행된 경영시스템 인증의 표준으로,         올해 대폭 수정된 개정판의 발간이 예고되면서 인증...
파일없음
2015-07-08
[KSA PS-012호] 스마트공장의 글로벌 추진동향과 한국의 표준화 대응전략❍ (스마트공장 개념) 제품의 기획․설계, 생산, 유통 등 전 과정을 정보통신 기술로 통합,          고객맞춤형 제품을 최소 비용․시간으로 생산하는 미래...
파일없음
2015-06-26
[KSA PS-011호] 국가표준기본계획의 추진경과와 향후 발전방향의 모색[KSA PS-011호] 국가표준기본계획의 추진경과와 향후 발전방향의 모색 
파일없음
2015-03-16
[KSA PS-010호] 영국 UKAS 인정시스템의 파급효과ㅁ 주제: 영국 UKAS 인정시스템의 파급효과 - 시장분석과 품질인프라를 중심으로 ㅁ 발간일: 2015.2.28 ㅁ 개요본 보고서는 2013년 영국 기업혁신부(BIS)에...
파일없음
2014-10-14
[KSA PS-009호] 정부조달에서의 표준인증제도 활용 현황-한국과 중국 현황을 중심으로제목 :정부 조달에서의 표준인증제도 활용 현황-한국과 중국 현황을 중심으로- 작성 : 이효빈/백종현(한국표준협회 표준정책연구센터 주임/책임연구원, jhpa...
파일없음
2014-06-09
[KSA PS-008호] 한국의 FTA TBT 분야 이행 10년의 평가와 과제[KSA PS-008호] 한국의 FTA TBT 분야 이행 10년의 평가와 과제   출처 : http://ksa.or.kr/framework/customer/notice.do?method=view&pbrd_seq_n=204&brd_se...
파일없음
2014-04-03
[KSA PS-007호] 규제 혁신 도구로서의 표준 활용 - 미국 정부의 추진사례 및 시사점[KSA PS-007호] 규제 혁신 도구로서의 표준 활용 - 미국 정부의 추진사례 및 시사점   출처 : http://www.ksa.or.kr/framework/customer/notice.do?method=vi...
파일없음
1 2